본문 바로가기
TAX

이자소득세와 비과세 복리

by 고깔모자A 2024. 5. 20.
728x90

 

 

1. 이자소득세란?

 

이자소득세는 말 그대로 이자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이자소득은 배당소득과 합산하여 계산되며 이를 금융소득이라고 합니다. 채권이나 증권의 이자, 예금의 이자 등이 이자소득에 포함됩니다. 이자소득세율은 이자소득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는 14% (지방세 포함 15.4%)이 적용됩니다. 

이자소득세는 원천징수 방식으로 징수됩니다. 이자를 지급하는 자가(원천공제 의무자) 이자를 지급할 때 이자소득세를 원천징수하여 함께 납부하게 됩니다. 금융소득 금액이 2,000만 원을 넘는 경우에는 매년 5월에 있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다른 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 소득)과 합쳐서 신고해야 합니다. 만약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을 합산한 금액이 2,000만 원을 넘지 않는다면, 다른 소득과 합치지 않고 이자소득을 지급받은 달에 원천징수를 한 것으로 세금신고가 끝나게 됩니다.

728x90

 

2. 비과세 복리란?

 

비과세 복리는 이자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복리 방식을 말합니다. 이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저축상품에 적용되며, 이를 통해 투자자는 복리 효과를 더욱 크게 누릴 수 있습니다.

복리는 원금에 붙는 이자까지 더해 가며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1년 동안 연 3%의 이율로 5,000만 원을 저축하면 첫 해에는 150만 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두 번째 해에는 이전 해에 발생한 이자까지 포함하여 총 5,150만 원에 대해 이자가 계산됩니다. (5,150만 원 * 3%)

비과세는 이자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과세 복리는 이자가 원금과 함께 누적되어 계산되는 복리 방식에 세금 부과를 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투자자에게 더 큰 수익을 제공하며, 장기적인 투자에 특히 유리합니다.

 

3. 비과세 복리의 효과?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비과세 복리가 굉장히 효과적인 투자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복리 효과와 세금 공제(비과세)의 2가지 혜택 때문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비과세 복리가 큰 이익을 가져다주지 않을 수 있습니다.

 

비과세 복리

 

 

네이버 금융계산기로 단순 계산 결과입니다. 목돈 5천만 원이 생겨서 연이율 3% 로 10년 거치했을 때의 효과입니다. 이자소득세가 2,690,022원 발생하였습니다. 비과세 혜택으로 한 달에 22,417원 이득을 본 셈입니다. 우리가 기대했던 비과세 복리의 혜택인가요?

 

 

비과세 복리

 

마찬가지로 네이버 금융계산기로 단순 계산 결과입니다. 목돈 5억이 생겨서 연이율 5%로 10년 거치했을 때의 효과입니다. 이자소득세가 49,819,731원 발행하였습니다. 비과세 혜택으로 한 달에 415,164원 이득을 본 셈입니다. 이 정도면 우리가 기대했던 비과세 복리의 혜택인가요?

 

 

 

 

 

 

비과세 복리가 좋은 투자방식 중 하나이긴 하나 원금의 규모가 작거나 이자율이 낮다면 실질적인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이것을 비과세 복리의 환상이라고도 부릅니다. 


비과세 복리의 환상은 비과세와 복리라는 단어에 현혹되어 실질적 효과를 생각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실제로는 이자율, 원금규모, 투자 기간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비과세 복리의 효과만 기대하는 투자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2024.05.20 - [TAX] - 상가 권리금(Premium)

 

상가 권리금(Premium)

1. 권리금 이란? 권리금이란 상가 건물의 임대차 계약에 따라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지급하는 보증금과 매월 내야 하는 월세 이외에 기존 세입자로부터 어떠한 권리를 양수받는 대가로 관행상

lovesu.tistory.com

2024.04.30 - [TAX] - 장애인 고용부담금 계산

 

장애인 고용부담금 계산

1. 장애인 고용부담금이란? 상시근로자의 수가 50명이 넘어가는 기업에서는 장애인 근로자를 일정 비율 이상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하는 것을 장애인 의무고용제도라고 합니다. 이 

lovesu.tistory.com

2024.04.24 - [TAX] - 누진제의 원리(전기요금)

 

누진제의 원리(전기요금)

누진제는 소득금액이 커질수록 높은 세율을 적용하도록 정한 세금입니다. 즉, 과세물건의 수량이나 화폐액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조세를 말합니다. 이는 소득 간의 불평

lovesu.tistory.com

 

728x90

'TA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브리드차 부가세 매입세액 공제  (1) 2024.05.24
전기차 부가세 매입세액 공제  (1) 2024.05.24
수취증빙 과세특례  (11) 2024.05.17
토스 돈상자 열고 내환급액 조회하기  (3) 2024.05.04
증자와 감자  (3) 2024.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