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민연금이란?
국민연금은 대한민국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입니다. 국민들이 소득 활동을 할 때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나이가 들거나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소득활동이 중단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기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운영됩니다. 회사에 재직 중인 사업장가입자는 본인과 회사가 각각 1/2씩 부담하고 있으며, 지역가입자는 본인이 전액 부담합니다.
- 노령연금: 나이가 들어 생업에 종사할 수 없어졌을 때 지급
- 장애연금: 예기치 못한 사고나 질병으로 장애를 입었을 때 지급
- 유족연금: 가입자 또는 연금수급권자가 사망하였을 때 그 배우자, 자녀 등 유족에게 지급
- 반환일시금: 연금수급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납부한 보험료에 이자를 가산하여 지급
2. 국민연금 부과 기준
A. 국민연금 가입 대상
국내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 및 국내 거주 외국인이 대상입니다.
B. 보험료 납부 기준
- 첫 달 2일 이후 입사하는 경우 국민연금 미납부 가능.
- 만 60세 도달 시 미납.
- 월 1일 이후 퇴사 시 국민연금 납부.
C. 기준소득월액
월 급여에서 비과세를 제외한 금액으로 국민연금보험료 산출에 기준이 됩니다. 국민연금의 기준소득월액 상한액과 하한액은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을 3년간 평균한 값을 기반으로 변동률에 연동하여 매년 7월 조정됩니다.
[Ex]
2023년 적용된 기준소득월액이 2,200,000원이고, 2022년 적용된 기준소득월액이 2,000,000원이라면 기준소득월액 변동률은 1.1 (2,200,000원 ÷ 2,000,000원)이 됩니다. 이 변동률을 기준으로 상한액과 하한액을 계산합니다.
D. 국민연금 보험료 산출 방법
국민연금 부과율은 기준소득월액에 적용되는 비율로 현재는 전 국민 모두 "9%"로 동일합니다. 이 부과율은 국민연금의 보험료 및 급여를 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국민연금 보험료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국민연금 보험료=가입자의 기준소득월액 ×연금보험료율
이 부과율은 저출산 및 소득대체율, 연금기금 고갈 이슈 등으로 인해 상향 논의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부과율이 결정되며, 이는 국민연금의 재정 안정성 및 노후 소득 보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2024.05.20 - [TAX] - 이자소득세와 비과세 복리
이자소득세와 비과세 복리
1. 이자소득세란? 이자소득세는 말 그대로 이자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이자소득은 배당소득과 합산하여 계산되며 이를 금융소득이라고 합니다. 채권이나 증권의 이자, 예금의 이자
lovesu.tistory.com
렌트와 리스
렌트와 리스는 모두 재산을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지만, 그들 사이에는 몇 가지 주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렌트와 리스의 차이점] - 비용 처리 방식 : 렌트는 '한 달 이용료
lovesu.tistory.com
2024.04.30 - [TAX] - 장애인 고용부담금 계산
장애인 고용부담금 계산
1. 장애인 고용부담금이란? 상시근로자의 수가 50명이 넘어가는 기업에서는 장애인 근로자를 일정 비율 이상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하는 것을 장애인 의무고용제도라고 합니다. 이
lovesu.tistory.com
'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급여 수령 조건 및 신청방법 (2) | 2024.06.17 |
---|---|
당뇨병과 당화혈색소 (2) | 2024.05.31 |
상가 권리금(Premium) (1) | 2024.05.20 |
누진제의 원리(전기요금) (1) | 2024.04.24 |
직장인 부업 쿠팡파트너스 (2) |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