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AX

사업자 단위과세 신청 및 혜택

by 고깔모자A 2024. 5. 30.
728x90

 

1. 사업자 단위과세란?

 

사업자단위 과세란 여러 개의 사업장을 가진 사업자가 주된 사업장에서 하나의 사업자 등록을 하여 각종 세무업무 신고 및 납부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각 지점의 사업자 번호는 말소되고 주 사업장의 사업자 번호로 모든 사업장의 세금계산서를 발행 및 수취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주 사업장에 따르는 여러 종사업장에 번호가 부여되며, 이를 종사업장 번호라 부릅니다.

 

728x90

 

 

사업자들이 여러 개의 사업장을 운영할 때 세금 신고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주 사업장에서 모든 세금을 일괄적으로 처리하고 납부할 수 있기 때문에 번거로움을 줄이고 자금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업자단위 과세를 적용받는 경우 사업장 간 거래에 대해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지 않아도 됩니다. 

 

2024.05.29 - [TAX] - 특수관계자 간 거래

 

특수관계자 간 거래

1. 특수관계자란?특수관계자란 회사의 대주주 및 오너와 특수관계에 있는 자를 말하며 주로 오너의 친인척 그리고 출자 관계에 있는 사람과 법인을 지칭합니다. 특수관계자 여부는 쌍방관계를

lovesu.tistory.com

 

 

2. 사업자 단위과세 신청방법

 


A. 서류 준비

 - 주사무소 및 종료된 사업장의 사업자등록증
 - 사업장 명세서
 - 법인 인감증명서
 - 대표자 신분증
 - 법인인감

 

B. 신청서 작성

 - 사업자단위 과세 등록신청서를 작성.

 - 별도 수수료 없음

 - 총 3일 소요

 

사업자단위과세 등록신청 | 민원안내 및 신청 |정부 24 (gov.kr)

 

사업자단위과세 등록신청 | 민원안내 및 신청 |정부24

사업자단위과세 등록신청 정보 신청방법, 처리기간, 수수료, 신청서, 구비서류, 신청자격 정보 제공 신청방법 방문, 우편 수수료 수수료 없음 신청서 사업자단위과세 등록신청서 (부가가치세법

www.gov.kr

 

 

C. 제출

 - 작성한 신청서와 필요한 서류를 담당 세무서에 제출

 - 사업자단위과세를 적용받으려는 과세기간 개시 20일 전까지 등록해야 함

 

 

 

3. 사업자 단위과세 장점

 

A. 효율적인 세금 처리

여러 개의 사업장을 운영하는 사업자는 주된 사업장에서 하나의 사업자 등록을 하여 세금 신고 및 납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모든 사업장의 세금계산서를 주 사업장에서 발행하고 수취할 수 있기 때문에 번거로움을 줄이고 자금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B. 간편한 세금 신고

주 사업장에서 모든 세금을 일괄적으로 처리하고 납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장 간 거래에 대해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지 않아도 됩니다. 세무 업무의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C. 자금 효율성

사업자단위 과세를 적용받으면 여러 개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세금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금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D. 간편한 관리

여러 개의 사업장을 운영하는 경우 사업자단위 과세를 통해 사업장 간의 세금 처리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2024.05.28 - [TAX] - 연봉별 실수령액 계산

 

연봉별 실수령액 계산

1. 세전 월급 구하기 A. 기본급 + 상여금 + 성과급(인센티브) + 각종 수당(직책수당, 자격수당 등) = 세전월급  2. 원천징수액 구하기 A. 국민연금(4.5%)B. 건강보험(3.545%)     요양보험(건강보험의

lovesu.tistory.com

2024.05.20 - [TAX] - 이자소득세와 비과세 복리

 

이자소득세와 비과세 복리

1. 이자소득세란? 이자소득세는 말 그대로 이자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이자소득은 배당소득과 합산하여 계산되며 이를 금융소득이라고 합니다. 채권이나 증권의 이자, 예금의 이자

lovesu.tistory.com

2024.05.20 - [TAX] - 상가 권리금(Premium)

 

상가 권리금(Premium)

1. 권리금 이란? 권리금이란 상가 건물의 임대차 계약에 따라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지급하는 보증금과 매월 내야 하는 월세 이외에 기존 세입자로부터 어떠한 권리를 양수받는 대가로 관행상

lovesu.tistory.com

 

728x90

'TAX'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의 의무(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다트 DART  (2) 2024.06.14
토지 개별공시지가조회  (4) 2024.06.05
특수관계자 간 거래  (15) 2024.05.29
연봉별 실수령액 계산  (2) 2024.05.28
내부회계 관리제도  (1) 2024.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