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절세6

사업자 절세 전략(세금 줄이는 실용 가이드) A. 사업자 절세 전략, 왜 필요하고 어떻게 시작할까?사업을 운영하면서 세금은 피할 수 없는 부담입니다. 하지만 적절한 절세 전략을 활용하면 합법적으로 세금을 줄이고, 사업 자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세법은 사업자에게 다양한 공제와 혜택을 제공하며, 2025년 3월 기준으로도 이를 잘 활용하면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B. 세액공제와 감면 이해하기절세의 첫걸음은 세액공제와 감면 제도를 이해하는 것!이는 세금을 직접 줄이거나 면제받는 방법으로 사업 규모와 상관없이 적용 가능합니다. 주요 세액공제1. 근로소득 세액공제: 직원 급여를 지급하면 원천징수한 세액의 일부를 공제받습니다. 예: 월급 200만 원 직원 1명 기준 연간 약 20만 원 공제 가능.2.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 연 매출.. 2025. 3. 21.
장부작성방법(단식부기 복식부기) 부기란 장부를 작성하는 방법을 말하며, 수입과 지출만을 기록하여 작성방법이 다소 간편한 단식부기와 거래의 8요소에 따라 차대변을 기록해 주는 복식 부기가 있습니다. 장부의 작성은 내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체의 구체적인 손익파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행위이며, 나아가 장부상 지출된 비용을 필요경비로 인정받아 절세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에 사업자라면 꾸준한 장부작성은 필수입니다. 1. 단식부기 단식부기란 정해진 법칙 없이 수입과 지출만을 통해 작성자가 임의로 작성하는 간편 장부입니다. 복식부기에 비해 작성법은 쉬우나 수입과 지출만으로는 알 수 있는 정보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주로 소매업자나 임시장부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어릴 때 쓰던 용돈기입장이 단식부기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2. 복식부기 복식부기는 .. 2023. 10. 26.
[세금] 상속세 절세 방안(종신보험) 유대인들은 어떻게 부를 축적했을까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스타벅스의 하워드 슐츠,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그 모두 유대인 출신의 대표적인 자산가입니다. 과거 보험회사 근무시절 유대인들이 부를 축적하는 방법에 대해 종종 강의를 듣곤 하였습니다. 보험회사에서 하는 교육이니 당연히 보험 관련 내용이겠지요? 강의의 내용은 종신보험을 통한 부의 세습이었습니다. 주소득자의 갑작스러운 사고에도 자녀들이 지속적으로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미리미리 준비하는 것이었습니다. 할아버지의 사망보험금이 아버지에게, 아버지의 사망보험금이 자녀에게 상속되면서 장기투자 형식으로 부가 축적되어 안전하게 전달이 되는 구조입니다. 종신보험은 상속세 절세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상속세란 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 2023. 9. 12.
[세금] 자동차세 연납 신청 1. 자동차세 연납이란? 자동차세의 연세액을 한꺼번에 납부하는 경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연납신청은 1월, 3월, 6월, 9월에 가능하며 해당월의 16일부터 말일까지 가능합니다. (ex. 1월 16일 ~ 1월 31일) 연납신청 시 10% 내의 범위에서 공제가 되며 당연히 1월에 신청하는 게 할인 혜택이 가장 큽니다. 차량소유자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하며, 연납 신청 후 미납부 시 자동으로 6월, 12월에 자동차세가 정기분으로 고지되니 연납신청을 했다면 바로 납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자동차세 연납신청 방법 자동차세는 지방세의 한 종류로 서울은 이택스, 그 외 지역은 위택스를 통해 신청해 주시면 됩니다 위텍스 링크 Wetax 위택스 Wetax 위택스 전국 지방세 신고·납부 서비스 국.. 2023. 8. 30.
[세금]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절세 방안 1. 부가가치세란? 운영하는 사업체가 성장을 하고 매출액이 일정 수준(연매출 8천만 원)을 초과하거나 초과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일반사업자로 전환이 되므로 절세를 위해 부가가치세에 신경을 더 써주셔야 합니다. 상대적으로 부가세 부담이 적은 간이과세자와는 달리 일반과세자는 사업과 유관한 비용의 지출에 대한 적격증빙 수취를 통해 부가세 부담을 줄여야 합니다. 부가가치세란 생산자-도매업자-소매업자-최종소비자를 거치는 동안 발생하는 부가가치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며, 이는 최종 소비자가 부담하게 되고 사업자는 최종소비자가 부담한 부가가치세를 국세청에 신고 및 납부를 하게 됩니다. 2. 적격증빙이란? 부가가치세는 매출세액-매입세액입니다. 부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매출을 줄이는 어리석은 행동을 하면 안 되겠.. 2023. 8. 18.
[세금] 영세율이란? 안녕하세요. 고깔모자 A입니다. 과세나 면세는 많이 들어봤는데 영세율이란 무엇일까요? 영세율에 들어가기 앞서 일반과세와 면세의 구조먼저 보겠습니다. 너무나 익숙한 구조입니다.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 차감 후 차액만큼 부가세를 납부합니다. 면세는 부가세 납세 의무자체가 면제됩니다. 매출부가세가 없는데 매입부가세를 공제받는 건 이상하죠? 당연히 매입세액 공제받지 못합니다. 공제받지 못한 매입세액 1만 원은 매출에 포함시켜 최종소비자가 부담하도록 할 겁니다. 영세율은 매출부가세가 말 그대로 "0"입니다. 매출부가세는 없지만 면세와는 다르게 매입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바로 외화벌이에 대한 세제혜택인데요. 납부는 없는데 공제가 있다는것... 엄청난 혜택 아닐까요? 2023.05.18 - [생각] - [생각.. 2023. 6.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