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혜택

밀키트 판매를 위한 허가절차

by 고깔모자A 2023. 9. 14.
728x90


맞벌이 및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밀키트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찾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밀키트 제품도 과거와 다르게 훨씬 맛있고 깔끔하게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습니다.

밀키트 시장이 커지면서 동네 곳곳에 밀키트 전용 점포가 생기고, 일반음식점에서도 매장 판매용 음식을 밀키트로 상품화시켜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밀키트 판매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한 필수 허가절차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1. 영업신고증


밀키트는 즉석식품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판매를 위해서는 즉석판매제조 가공업으로 영업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즉석판매제조 가공업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준비사항이 필요합니다. 아래의 서류를 챙겨 시군구청 위생과 방문해 주시면 됩니다.

* 건축물대장(밀키트 제조를 위한 전용공간 확인용)
* 위생교육 수료증(온라인으로 3시간 교육)
* 1년 이내 발급된 보건증(연단 위 갱신)
* 제조방법 설명서(첨가물 및 레시피)
* 식품영업 등록신청서
* 수질검사 성적서(지하수 사용 시)
* 신분증
* 지자체 방문 전 위생과 전화해서 추가서류 있는지 확인(지자체 별로 조금씩 다름)

 

아래링크 확인

728x90

식품제조가공업 - 식품영업의 업종별 시설기준 - 식품위생업소신고 - 위생 -보건소 (wonju.go.kr)

 

식품제조가공업 - 식품영업의 업종별 시설기준 - 식품위생업소신고 - 위생 -보건소

식품제조 · 가공업의 시설기준 식품의 제조시설과 원료 및 제품의 보관시설 등이 설비된 건축물(이하 "건물"이라 한다)의 위치 등 건물의 위치는 축산폐수 · 화학물질 기타 오염물질의 발생시

www.wonju.go.kr

 

 

위생교육

위생교육은 온라인으로 3시간 교육 후 수료되며 어느 곳에서 받으셔도 무방합니다.


유의사항

사전확인이 필요한 유의사항이 있는데 2종 근린생활시설에 포함되신다면 아무 문제 없이 진행 가능합니다.



2. 통신판매업 신고


방문고객들을 상대로 판매한다면 신청할 필요 없지만, 온라인으로 판매하기 위해서는 통신판매업 신고가 필수입니다. 비대면 신청이 가능하며 정부 24 사이트를 통해 진행하면 됩니다. 통신판매업 신고를 위한 필요서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신분증
* 사업자등록증
* 구매안전서비스 이용확인증(에스크로)

에스크로


에스크로는 온라인 비대면 거래로 인한 소비자 보호를 위해 통신판매업 신고 시 필수제출 사항입니다. 농협, 기업, 국민 3곳의 은행에서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에스크로 가입 절차

은행 창구에 방문하여 계좌개설 및 인터넷뱅킹 가입 후 나머지 절차는 온라인으로 진행 가능합니다.


3. 사업자등록


영업허가는 시군구청에서 받았지만 사업자등록을 위해서는 세무서에 가야겠지요?

신분증 지참하고 위의 서류 2가지를 함께 제출해 주면 새로운 사업자등록증이 나옵니다. 마지막으로 사업자등록증 종목란에 식품제조가공업(밀키트 제조), 전자상거래(온라인 판매)가 정상적으로 추가되었는지 확인해 주시면 밀키트 판매를 위한 모든 허가 절차가 완료됩니다.

2023.08.30 - [TAX] - [세금] 자동차세 연납 신청

 

[세금] 자동차세 연납 신청

1. 자동차세 연납이란? 자동차세의 연세액을 한꺼번에 납부하는 경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연납신청은 1월, 3월, 6월, 9월에 가능하며 해당월의 16일부터 말일까지 가능합니다. (ex

lovesu.tistory.com

2023.09.13 - [TAX] - [세금] 개인사업자의 법인사업자 전환

 

[세금] 개인사업자의 법인사업자 전환

우리가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순이익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법인 전환을 고려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당연 소득세의 세율 때문입니다. 소득세율은 개인사업자에 비해 법인사업자가 훨씬 낮습

lovesu.tistory.com

2023.08.18 - [TAX] - [세금]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절세 방안

 

[세금]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절세 방안

1. 부가가치세란? 운영하는 사업체가 성장을 하고 매출액이 일정 수준(연매출 8천만 원)을 초과하거나 초과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일반사업자로 전환이 되므로 절세를 위해 부가가치세에

lovesu.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