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적한 시골땅에서 전원주택을 짓고 평화롭게 살고 싶은 꿈!
누구나 한 번쯤은 생각해 보셨을 텐데요
무턱대고 토지먼저 샀다간 큰일 납니다.
여러 가지 법적, 행정적 제약이 있기 때문인데요.
먼저 취득한 토지가 대지가 아니라면 건물을 올릴 수 없습니다.
만약 인접한 도로가 없다면 대지로 변경조차 불가능합니다.
취득한 토지의 면적에 따라 허가 가능한 도로의 폭도 달라집니다.
우여곡절 끝에 대지로 지목변경을 해도
토지의 용도지역구분이 생산관리지역이라면
건폐율이 20%밖에 되질 않아 100평짜리 땅에 20평짜리 건물을
건축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복잡하고 난감한 건축법과 도시계획법...
오늘은 그중에 건폐율과 용적률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2. 건폐율(building to land ratio)
건폐율이란 대지에 건축물이 자리 잡고 있는 비율을 뜻하며
계산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폐율 계산에 앞서 국토계획법에서는 토지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용도지역별로 건폐율의 최대한도범위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법에서 명시하고 있듯 용도지역에 따라
건폐율의 적용범위가 달라집니다.
내 토지의 용도구분확인을 위해서는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여 조회 하시면 됩니다.
http://www.eum.go.kr/web/am/amMain.jsp
토지이음
이음지도, 용어사전, 질의회신사례, 규제법령집, 주민의견청취 공람, 도시계획통계 제공
www.eum.go.kr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토지이음
건폐율 계산은 간단합니다.
가로 100m 세로 100m 총면적 10,000m 2인 토지가 있다고 가정 시
주거지역에 속해있다면 최대 건축 가능 바닥면적이 7,000m 2이고
생산관리지역에 속해 있다면 최대 건축 가능 바닥면적이 2,000 m2입니다.
그 이상의 건축물은 허가가 나질 않습니다.
건물을 위로 높이 쌓아 올려서 부족한 연면적을 채우려 해도
용적률이라는 제도가 제한을 둡니다.
3. 용적률(floor area ratio)
용적률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국토계획법에서는 용도지역별로 용적률 한도범위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용적률은 지상층의 연면적을 대지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용적률 산정 시 사용되는 연면적에는
지하층, 사람들의 상시적인 거주성이 없는 공간은 계산에서 제외시킵니다(화재 대피시설 등)
가로 100m 세로 100m 총면적 10,000m 2인 토지가 있다고 가정 시
주거지역에서는 연면적 50,000m 2까지 가능하고
생산관리지역에서는 연면적 8,000m 2까지 가능합니다.
https://link.coupang.com/a/bgEadi
삼립 호빵 발효미종 단팥 92g, 14개입
COUPANG
www.coupang.com
https://link.coupang.com/a/bgEaqR
오뚜기 맛있는 작은밥 150g, 30개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4. 응용
- 가로 100m 세로 100m 총면적 10,000 m2
- 주거지역(건폐율 70%, 용적률 500%)
최대 건축 가능 규모는?
건폐율이 70%이므로
바닥면적의 최대규모는 7,000m 2이고
용적률이 500%이므로
연면적의 최대규모는 50,000 m2입니다.
바닥면적이 7,000m 2일 경우
최고층수는 7층일 것이며
(7층 × 7,000 m2 = 49,000 m2 / 50,000 m2 이하)
바닥면적을 5,000m 2로 건축한다면
최고층수는 10층입니다.
(10층 × 5,000 m2 = 50,000 m2 / 50,000 m2 이하)

2023.10.26 - [일상] - 창업을 고민하고 있다면? 소상공인 지식배움터
창업을 고민하고 있다면? 소상공인 지식배움터
누구나 창업의 꿈을 꾸지만 막상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서 고민만 하다가 생각을 접으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직장인인 저도 부업 및 제2의 파이프라인 구축을 위해 "밀키트 온라인
lovesu.tistory.com
2023.10.27 - [일상] - 창업 전 상권분석 유동인구
창업 전 상권분석 유동인구
창업 전 상권분석은 필수사항이겠죠? 인구 감소 지역이나 평균연령이 지나치게 높은 지역에 점포를 입점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는 힘듭니다. 물론 직접 발로 뛰며 내 눈으로 보고 내 귀로
lovesu.tistory.com
2023.11.15 - [TAX] - 2023년 귀속 연말정산 주요 개정세법
2023년 귀속 연말정산 주요 개정세법
23년 귀속 연말정산의 주요 개정사항은 무엇이 있을까요? 연말정산의 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직장인들은 매년 연말정산이라는 제도를 통해 종합소득 과세 표준율을 적용하고 결정세액을 산
lovesu.tistory.com
'TAX'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수금과 가지급금의 차이 (1) | 2024.04.19 |
---|---|
[세금] 차량 부가세 공제 불공제 구분 (69) | 2023.11.22 |
2023년 귀속 연말정산 주요 개정세법 (70) | 2023.11.15 |
[세금] 간이과세자의 부가세 신고 (24) | 2023.11.11 |
장부작성방법(단식부기 복식부기) (40) | 2023.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