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확정신고2

[세금] 의제매입세액이란? 안녕하세요. 고깔모자 A입니다. 혹시 의제매입세액이라는 말 들어 보셨나요? 익숙한 분들도 계시지만 생소한 분들이 더 많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의제매입세액이란 농, 축, 수, 임산물과 같은 면세품을 구입하고 사용하여 과세가 되는 재화를 제조 또는 가공하는 사업자에 대하여 매입세액으로 공제해 주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서 면세품을 사서 과세로 팔 때 적용되는 매입세액(의제)입니다. 의제매입세액은 음식점/제조업을 운영하는 개인 또는 법인에게 해당이 되는데 면세품을 사서 과세로 팔면 부가세 부담이 많이 되겠지요? 공제받을 세액은 없는데 납부할 세액만 있는 거죠 그래서 만들어진 제도가 의제매입세액 공제입니다. 과세 품목의 부가세 공제율(10/100) 만큼은 아니지만, 업종별로 그에 준하는 공제율을 차등해서 적.. 2023. 5. 19.
[세금] 부가가치세 신고 쉽게(매출) 안녕하세요. 고깔모자 A입니다. 오늘은 부가세 신고가 처음이라 망설여지는 분들을 위해 최대한 쉽게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부가가치세란?(Value Added Tax) 부가세란 국세의 한 종류로 상품의 거래나 서비스, 용역의 제공과정에서 얻어지는 이윤(부가가치)에 대해 과세하는 세금이며, 사업자가 납부하는 부가가치세는 매출세액(부가세예수금)에서 매입세액(부가세대급금)을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A법인은 매출이 100만 원(vat별도)이고, 매입자료가 10만 원(vat별도)입니다. 그렇다면 납부할 부가가치세는 얼마일까요? 정답은 10만 원(매출 부가세) - 1만 원(매입 부가세) = 9만 원 이렇게 부가세신고가 끝난다면 너무 쉽겠지요? 기본 개념은 위와 같지만 부가세 신고 시 챙겨야 할 점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2023. 5.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