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란?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에서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의 상태를 보여주는 회계 보고서입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 상태를 정적으로 나타내며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운용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재무상태표로 정식명칭이 변경된 지 오래되었지만 실무에서는 아직도 대차대조표라는 명칭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 자산 (Assets):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자원으로 현금, 재고자산, 부동산, 특허 등이 포함됩니다.
- 부채 (Liabilities): 기업이 현재 가지고 있는 의무로, 차입금, 미지급금, 선수금 등이 포함됩니다.
- 자본 (Equity): 기업의 소유주 지분으로 주주자본, 이익 잉여금 등이 포함됩니다.
2. 자산(Asset)
자산은 유동성에 따라 유동자산과 비유동 자산으로 분류가 됩니다. 유동자산은 1년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을 말하며, 비유동 자산은 현금화하는데 1년 이상이 걸리는 자산을 뜻합니다.
[유동자산]
A. 현금
기업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 또는 현금과 동일한 가치를 가진 자산을 의미합니다. 기업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단기적인 부채를 상환하거나 투자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B. 매출채권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고 그 대가로 아직 받지 못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며 외상거래를 통해 생겨납니다. 매출채권은 미래에 현금화할 수 있는 권리를 나타내므로 매출채권의 규모와 관리 상태는 기업의 유동성 및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외상거래의 특성상 회수하지 못하는 채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기업에서는 설정된 대손충당금으로 미회수 매출채권만큼 차감하여 대손충당비로 비용처리를 합니다.
C. 보통예금
기업이 은행에 예치한 돈을 의미합니다. 이는 언제든지 예금주가 원할 경우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입니다.
D. 단기금융상품
기업이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1년 이내에 현금화 가능한 금융상품을 의미하며, 판매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간접으로 현금화할 수 있어 유동성이 매우 큰 자산입니다. 단기금융상품에는 CD(어음증서), 유가증권(주식이나 채권) 등이 있습니다.
E. 미수수익/미수금
기업이 외부에 재화 또는 용역을 제공하여 상대방에게 받을 권리는 현재시점에 생겼으나 이에 대한 대가는 당기말 이후에 받는 수익을 처리하는 계정입니다.
미수수익은 "아직 받지 않은 돈"이라는 점에서는 미수금과 동일하지만 나중에 받을 돈의 성격에 따라서 회계에서는 이를 미수금/미수수익으로 구분합니다. 미수금은 기업의 서비스/재화 제공 대가 외의 받을 돈 중 아직 못 받은 돈을 뜻하고, 미수수익은 발생주의 원칙에 따라 '시간의 경과’를 통해 발생하는 받을 돈을 얘기합니다.
예를 들어 유형자산을 매각하고 생긴 채권은 미수금으로 분류되지만, 이자/배당 등 기간에 따라 발생하는 채권은 미수수익으로 분류됩니다.
F. 선급금
기업이 상품이나 원재료 등의 매입을 위하여 미리 지급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원재료 등의 구입 시 납품에 앞서 대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급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감자 100kg 구입을 위해 계약금 10%를 지급할 경우 계약금 10% 지급은 선급금(가계정)을 통해 처리하게 되며, 추후 공급이 완료되는 시점에 자산계정과 대체 처리를 합니다.
G. 선급비용
기업이 미래에 이용할 서비스나 상품에 대해 미리 지급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기업이 미래의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합니다.
선급비용 계정이 소멸하는 경우 상대계정은 손익계산서의 비용계정으로 됩니다. 즉 선급으로 지급한 목적이 완료되어 대차대조표의 자산으로 지속되는 것은 선급금이고, 기간의 경과 등으로 선급 목적이 종료되어 손익계산서의 비용계정이 되는 것은 선급비용입니다.
선급비용의 대표적인 예로 보험료가 있습니다. 1년 치 보험료를 선급비용으로 계상한 후 매달 해당월 보험료만큼 비용인식과 동시에 선급비용을 대변으로 보내어 차감해 줍니다.
H. 전도금
기업의 사업장(지점, 대리점, 영업소, 공사현장 등)이 여러 개 있을 때 사업장의 운영을 위하여 본사에서 사업장에 보내는 돈을 의미합니다. 본사와 지점 간의 자금이동에 관한 계정으로 현금과 동일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I. 재고자산(상품/제품/저장품 등)
기업이 판매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상품이나 제품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정상적인 영업활동 과정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 (상품, 제품 등), 판매를 목적으로 생산 중에 있는 자산 (재공품), 제품의 생산이나 용역의 제공과정에 직·간접적으로 사용되거나 소모될 자산 (원재료, 저장품 등)을 포함합니다.
[비유동자산]
A. 투자자산
기업이 보유한 주식, 채권, 부동산 등의 투자 자산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업의 주된 영업목적이 아닌 타회사의 지배나 통제 혹은 유휴자금의 이식이나 활용을 목적으로 자금을 투하한 것을 말합니다.
B. 유형자산
기업의 영업활동을 위해 장기간에 걸쳐 보유하고 있는 물리적 형체가 있는 영업용 자산을 말합니다. 유형자산의 종류로는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선박, 차량운반구, 공구와 기구, 비품, 건설 중인 자산 등과 같은 설비자산이나 공장설비자산이 이에 속합니다.
C. 무형자산
무형자산은 물리적 형태가 없지만 기업이 소유하거나 통제하여 미래의 경영활동에 이용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권리 등을 말합니다. 무형자산의 종류로는 산업재산권 (특허권, 상표권, 실용신안권, 의장권), 광업권, 어업권 등과 같이 법률적인 권리를 지니는 자산이 있고, 영업권 (권리금)이나 기업만의 특수한 기술과 같은 실질적인 경제적 자산이 있습니다.
D. 기타 비유동자산
기타 비유동자산은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에서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에 속하지 않는 비유동자산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1년 이상 보유하거나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들로 임차보증금, 이연법인세자산, 장기매출채권, 장기미수금, 장기선급비용, 장기선급금 등이 있습니다.

2024.06.17 - [TAX] - 연결재무제표 작성이유
연결재무제표 작성이유
1. 연결재무제표란 연결재무제표는 지배/종속 관계에 있는 2개 이상의 회사를 마치 한 회사인 것처럼 각 회사의 재무제표를 합하여 작성하는 재무제표입니다. 연결재무제표는 다음과 같은 구
lovesu.tistory.com
2024.06.14 - [TAX] - 공시의 의무(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다트 DART
공시의 의무(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다트 DART
1. 공시의 의무 공시의 의무란 기업이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법적 의무를 말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기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가지고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lovesu.tistory.com
2024.06.20 - [TAX] - 수익적 지출과 자본적 지출
수익적 지출과 자본적 지출
1. 수익적 지출 수익적 지출이란 기업이 일상적인 영업 활동을 위해 지출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기업의 주요 활동을 유지하고 운영하기 위한 일련의 지출로 볼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급상
lovesu.tistory.com
'TA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공항 라운지 무료이용 (0) | 2024.08.20 |
---|---|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의 이해_부채 (2) | 2024.07.08 |
수익적 지출과 자본적 지출 (2) | 2024.06.20 |
연결재무제표 작성이유 (2) | 2024.06.17 |
공시의 의무(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다트 DART (2) | 2024.06.14 |